이제는 끝이 보이는 기술, 개인용 컴퓨터, 핸드폰, 스마트 손목시계 뭘 선택하든, 딱히 장단점이 없다. 그래서 자신에게 잘 맞는 제품 쓰면 된다. 근데 특별한 장단점이 없음에도, 관성적으로 특정 제품군을 사는 것이 있다. 개인적으로 그것은 사치품 으로 보인다. 사치품이 나쁜 것이 아니다. 자신의 형편에 맞게 사고, 자신이 감당할 수 있으면, 무슨 상관인가. 그러한 사치품을 자랑하고 싶은 것도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다. 애초에 사치품을 사는 것 자체가 남에게 자랑하기 위함이 포함되어 있으니까. 다만, 경계해야 하는 것이 있다. 그 사치품에 대한 열망이 없는 사람에게,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치품의 장점을 이야기 하는 것. 솔직히 듣기 괴롭다. 그만 했으면 한다.
Bash에서 Array, Map에 대한 정리. (매번 찾기 귀찮) 찾아보진 않았지만, Bash에서 Array든 Map이든 동일하게 Map(C++에서 Unordered Map)으로 동작하는 것 같다. 왜냐하면, Array의 Index가 연속하지 않아도 동작한다. 그저 Key가 0 이상의 정수인 Map이랑 비슷하게 동작한다. 예) 1, 2, 3, 9, 10 Array # 생성 declare -a empty_array declare -a ar=(haha hoho baba "long string haha hoho") # 접근 echo "ar[0]=${ar[0]}" echo "all as array=${ar[@]}" # 큰따옴표 안에서 각 원소를 따로따로 전달한다. echo "all as one=${ar[*]}" # 큰따옴표 안에서 각 원소를 문자열 하나로 합쳐 전달한다. echo "indexes=${!ar[@]}" echo "indexes=${!ar[*]}" echo "length=${#ar[@]}" echo "length=${#ar[*]}" echo "last=${ar[-1]}" echo "last=${ar[@]: -1}" # 콜론 뒤에 빈 칸이 꼭 필요하다. 옛 방식 # 현재 상황 declare -p ar #(출력) declare -a ar=([0]="haha" [1]="hoho" [2]="baba" [3]="long string haha hoho") ar[100]=hello # 인덱스를 건너 뛰어도 동작한다. declare -p ar #(출력) declare -a ar=([0]="haha" [1]="hoho" [2]="baba" [3]=&